시스템아 미안해

4계층 - Transport Layer 본문

network&OS/전송계층

4계층 - Transport Layer

if else 2022. 6. 22. 14:42

Transport Layer : 서로 다른 호스트들의 process들을 주고받음. 즉 데이터를 담당하는 계층 

network layer가 호스트 사이의 logical communication이었다면,

transport layer는 프로세스 사이의 logical communication이 중심이다. 

(호스트 -> 디바이스. ip주소를 가지고 있음
프로세스 -> 호스트 위에서 돌아가는 여러가지 프로세스들) 

 

호스트 사이에서의 통신이므로 전송계층은 end-system위에서 동작하며

포트를 열어서  segment라는 단위로 패킷을 주고 받는다.

패킷들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전송 실패한 패킷은 다시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send side는 message를 segment로 나누어 네트워크 계층으로 보내며

패킷을 받는 rcv side는 segment를 message로 조립하여 응용계층으로 보낸다.

 

출처 : https://seungjuitmemo.tistory.com/83

 

 

전송계층에서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크게 TCP UD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TCP / UDP에 관한 설명 링크 : https://like-scenario.tistory.com/6 (제 블로그입니다_ _) 

 

 

'network&OS > 전송계층'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계층 - Session Layer  (0) 2022.06.27
3계층 - Network Layer  (0) 2022.06.21
2계층 - Data Link Layer  (0) 2022.06.21
1계층 - Physical Layer(=phy파이)  (0) 2022.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