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04)
시스템아 미안해
Item1 - 객체 생성을 위해 constructors대신 static factory methods 사용을 고려해라. ( 주의해야할건 디자인 패턴의 'factory pattern' 과는다르다,, ) 생성자 대신 사용할 static factory methods 의 이점 1. 명확한 메소드명을 지닐 수 있고, 이는 사용 용도를 명확히 한다. 생성자 사용시 사용할 객체의 역할이 다른 생성자 argument를 잘못 넘길 수 있고, 자칫 다른 반환체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2. 새로운 객체 생성시 매번 호출되지 않는다. 같은 객체를 반복 요청해도 생성자처럼 매번 새로 생성하는 것이 아닌 재사용할 수 있도록 instance-controlled(인스턴스 통제)를 하게 한다. ( 생성자를 private 으로 선언하여 ..

웹 쪽은 수학이 필요없다는 의견이 절반을 넘지만 전공 커리큘럼에 이산 수학, 선형 대수가 필수인 만큼 나도 따라가야할듯

merge후 pull 오류 (unstaged에 내가 commit하지 않은 파일이 올라가있었음) >> Another git process seems to be running in this repository, e.g. an editor opened by 'git commit'. Please make sure all processes are terminated then try again. If it still fails, a git process may have crashed in this repository earlier: remove the file manually to continue. 라는 에러가 떴다. (해석 : 이 저장소에서 다른 git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git commit..

출처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kausehlsek12&logNo=222243817376&from=postView&redirect=Log&widgetTypeCall=true&topReferer=https%3A%2F%2Fblog.naver.com%2FPostSearchList.nhn%3FSearchText%3D%25EC%2595%25BC%25EA%25B0%2584%26blogId%3Dgkausehlsek12%26x%3D0%26y%3D0&directAccess=false# [직장인편입] 직장인 재직중 인서울대학 편입하기(인서울야간대학/학과&편입방법) 편입과 관련된 모든 대학별소식/정보/합격수기는 편준사에서! ▶ 가장 빠르게 편입뉴스/정보/합격전략 받는...

HTML 제목~~ 이것을 알려드리고 싶었어요.당신이 찾던 그것! CSS .help{ 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600; border: none; background: none; color: #000; cursor: pointer; box-shadow: none; border-radius: 0; position: relative; } .help::before { content: "?"; display: inline-block; font-size: 14px; font-weight: 700; background: #fff; color: #5d5d5d; border: 1px solid #5d5d5d; border-radius: 50%; cursor: pointer; widt..

SELECT절 FROM절 예를들어 tbl_A, tbl_B, tbl_C 이렇게 3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는 흔히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아래 부분은 tbl_A, tbl_B, tbl_C 테이블에서 모든 컬럼과 모든 데이터들을 전부 조회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데이터양이 많으면 쿼리의 속도는 현저히 느려지기 마련이고, 10개의 테이블을 이런식으로 조인하게 되면 더욱 느려지게 되겠죠. 1 2 3 4 5 6 7 8 9 10 11 12 SELECT TblA.A ,TblB.B ,TblC.B FROM tbl_A TblA LEFT OUTER JOIN tbl_B TblB ON TblB.join_value = TblA.join_value LEFT OUTER JOIN tbl_C Tb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