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아 미안해
3계층 - Network Layer 본문
Network Layer : (패킷전달(IP), 경로설정(Route))
-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최적의 길을 찾는 층.
- 만약 datalink layer-physical layer만 수행한다면 다른 경로의 네트워크에는 data를 전송할 수 없다.
-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준다.
* 패킷의 종류 유니 캐스트 - 1:1 통신 브로드 캐스트 - 1:N 통신 - 불특정 다수에게 패킷 전송. -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해할 수 있음. 멀티 캐스트 - 1:M 통신. - 특정한 그룹에게 패킷을 전송 - 거의 사용하지 않음. |
출처 : https://alljbut.tistory.com/16
-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네비게이션의 최단 경로 안내 역할을 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함
>> 라우팅 한다 = 네트워크 계층이다.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장치
- 거점의 ip주소(논리적주소)를 갖고 있는 라우팅테이블로 전역적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
- 라우터의 IP 주소 설정 > 네트워크의 출입구 역할
IP(Internet Protocol)
- IP주소 :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논리적 주소(10진수 32비트)
- 종류 - 공인 IP 주소 / 사설 IP 주소
- 버전 - IPv4 / IPv6
- 구성 - 네트워크ID + 호스트ID
- IPv4 주소는 주소의 수가 고갈되고 있어서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컴퓨터나 라우 터에는 공인 IP 주소를 할당하고, 회사나 가정의 랜에 있는 컴퓨터는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는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 공인 IP 주소는 라우터에만 할당하고, 랜 안에 있는 컴퓨터에는 랜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유롭게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거나 라우터의 DHCP 기능을 사용하여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한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 : 컴퓨터에 할당할 수 없는 IP 주소 네트워크 주소 전체 네트워크에서 작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호스트 ID가 10진수로 0이면 그 네트워크 전체를 대표하는 주소가 된다 ➔ 쉽게 말해 전체 네트워크 대표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나 장비 모두에게 한 번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용 IP 주소 ![]() 출처 : https://velog.io/@april_5 |
- IP헤더와 데이터를 감싼 IP패킷을 데이터링크(2계층) 계층으로 보냄
- IP 헤더엔 출발지 IP주소와 목적지 IP 주소가 있다.
- 네트워크 계층의 주요 역할
1) 패킷 전달 : end-to-end간의 패킷 전달 수행
2) 라우팅 : 패킷을 전송할때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가장 효율적인 경로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함
3) 논리적인 주소 : ip주소를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까지 전달. 즉 전송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에 송수신 장치의 ip주소를 포함한 ip프로토콜 헤더를 붙여 캡슐화한 후 패킷 전송
'network&OS > 전송계층'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계층 - Session Layer (0) | 2022.06.27 |
---|---|
4계층 - Transport Layer (0) | 2022.06.22 |
2계층 - Data Link Layer (0) | 2022.06.21 |
1계층 - Physical Layer(=phy파이)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