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아 미안해

유튜브 노마드코더 - graphQL 쓰는 이유 (Rest API의 단점) 본문

web

유튜브 노마드코더 - graphQL 쓰는 이유 (Rest API의 단점)

if else 2022. 6. 7. 14:41

https://youtu.be/N-81mS2vldI

출처 : 유튜브 노마드 코더 - 이 영상을 보고나면 REST API 를 못쓰게 됩니다.

 

REST :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구성할 때 이런 구조로 설계하라는 지침

REST API : URL로 웹사이트를 response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제공(JSON타입)

어디선가 HTTP기반의 웹 API를 구현한다면 십중팔구는 REST를 준수하는 RESTful API임.
대표적으로 Google을 포함하여, Facebook, 트위터, Naver, 카카오톡 등 IT 회사라면

각 회사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REST API를 지원.


작동 방식 : 트위터에 특정 검색어를 치면, 트위터 앱은 트위터 API에게 URL(+검색어)로 데이터 요청 

※REST API의 문제점 2가지

1. Over Fetching : 요청보다 더 많은 데이터 응답

실제 필요한 정보만 특정해서 요청한다면 DB에 부담줄 일도 없고, 
서버와 휴대폰간의 이동해야하는 데이터도 커지지 않기 때문에 로딩시간이
획기적으로 짧아질것.
>>이로 인해 페이스북에서 graphQL을 만듦(QueryLanguage)

2. Under Fetching : 더 적은 데이터 응답. 

필요한 request마다 해당 url로 보내야 하는데, 
graphQL을 쓰면 각기 다른 요청을 보낼 필요가 없음
1개의 쿼리에 2개의 정보를 한 방에 담아서 요청함

graphQL을 이용해서 정확하게 필요한 정보만 쿼리로 요청함.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L경로 설정  (0) 2023.01.26
xml에서 파일 업로드 설정 :: servlet-api, web-app 3.1로 변경  (0) 2022.12.14
JSP vs Thymeleaf  (0) 2022.09.24
웹경로, context path, 절대경로, 상대경로  (0) 2022.07.10
URL과 도메인, 그리고 DNS  (0) 2022.06.03